본문 바로가기
보기편한 정보

통보와 통고, 법률 용어에서 헷갈리면 안 되는 이유!

by 캐릭터 연필깎이 2025. 3. 14.

통보와통고

듣는 것보다 읽으면 기억에 더 오래 남습니다.

 

통보와 통고의 차이, 법률 용어에서 어떻게 다를까?

 

 

"통보통고,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공식 문서에서 통보통고가 다르게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뉴스에서 "대통령이 계엄선포를 승인한 이후 행정안전부가 국회에 '통고'한다는 표현을 '통보'로 변경했다"는 내용이 보도되면서, 두 용어의 차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실제로 '통보''통고'는 모두 정보를 전달하는 의미를 갖지만, 법률적으로는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시간엔 두 용어의 개념과 차이점, 그리고 법률적 의미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통보(通報)란?

통보란 어떤 사실을 알리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주로 한쪽이 상대방에게 일방적으로 사실을 전달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죠.

 

 

통보의 주요 특징

  • 상대방이 이에 대한 동의나 수락할 필요 없음
  • 단순한 사실 전달의 의미가 강함
  • 주로 공문서, 행정 절차, 일반적인 법률 문서에서 사용됨

통보의 법률적 의미

법률에서의 '통보'는 행정기관이나 특정 기관이 결정된 사항을 상대방에게 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대방이 그 내용을 받아들이거나 반응할 필요 없이, 단순히 내용을 전달하는 것만으로 효력이 발생합니다.


법률에서의 예시

  1. 정기관이 국민에게 허가 여부를 통보하는 경우
    • "귀하의 신청이 승인되었음을 통보합니다."
  2. 공무원 징계 처분 시에도 '통보' 형식으로 전달됨
    • "귀하의 징계 처분이 확정되었음을 통보합니다."
  3. 률이 개정되었음을 국민에게 알리는 경우
    • "2025년부터 새로운 교통법규가 시행됨을 통보합니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 통보는 단순한 정보 제공!
  • 상대방이 굳이 대응할 필요 없음!

728x90

통고(通告)란?

통고는 공식적으로 알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법률적으로는 단순한 사실 전달이 아니라 상대방이 일정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통고의 주요 특징

  • 단순한 전달이 아니라, 상대방이 후속 조치를 해야 할 수도 있음
  • 행정·사법 절차에서 사용될 때는 특정한 법적 의무를 부여할 수 있음
  • 주로 법원의 결정, 조세 관련 사항 등에서 사용됨

 

통고의 법률적 의미

법률에서의 '통고'는 일정한 법적 효과를 수반하는 공식적인 알림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알리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이에 대해 특정한 반응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법률에서의 예시

  1. 찰이 교통법규 위반자에게 범칙금을 부과를 통고하는 경우
    • "귀하는 신호위반으로 범칙금이 부과되었으며, 이를 15일 이내에 납부해야 합니다."
  2. 세청이 납세 의무자에게 세금 부과를 통고하는 경우
    • "귀하는 2024년 소득세 미납으로 인해 3월 31일까지 납부해야 합니다."
  3. 통령이 계엄령을 선포한 후 국회에 공식적으로 알리는 경우
    • "대통령은 국가 위기 상황에 따라 계엄을 선포하며, 국회에 이를 통고합니다."

즉, 쉽게 정리하면..

  • 그냥 알리는 게 아니라, 상대방이 뭔가 해야 함
  • 법적 절차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음

표로 보는 비교

구분 통보 통고
의미 단순한 사실 전달 법적 효과를 동반한 알림
상대방의 반응 반응할 필요 없음 일정한 조치를 취해야 할 수도 있음
사용 예시 행정기관의 결정, 일반적인 법률 문서 범칙금 처분, 조세 통고, 계엄령 통고

통고에서 통보로 바뀐 이유는?

이번에 논란이 된 '계엄령 통고'에서 '통보'로 변경된 이유는, 국회가 이를 수락하거나 반응할 필요 없이 단순한 사실 전달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계엄은 법률상 '통고'가 마땅하지만, 이를 '통보'로 바꾸고 국회에 전달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통고'를 '통보'로 변경한 것은 오타로 인한 단순 실수라고 설명했습니다.


법률 용어에서 정확한 표현이 중요한 이유

  • 단어 하나 차이로 법적 해석이 달라질 수 있고,
  • 법률 용어는 그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법률 용어는 미묘한 차이로 인해 큰 의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특히, 법률 문서나 행정 절차에서는 정확한 용어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728x90
반응형